2023-07-17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REL)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부유식 태양광 발전은 2025년까지 재생 에너지원 설치 용량의 35%를 달성하려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지역 목표에서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동남아시아에서 부유형 태양광 발전을 배치하기에 적합한 7,301개의 수역(저수지 88개와 자연 수역 7,213개)을 확인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저수지의 부유형 태양광 잠재력은 134~278GW이고 자연 수역은 343~768GW입니다.
보고서는 부유형 PV의 잠재력이 라오스와 말레이시아의 저수지에서 더욱 두드러진다고 지적합니다.
한편,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의 천연 수역은 훨씬 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베트남에서는 수역의 유형에 관계없이 그 잠재력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천연가스에 크게 의존하여 약 78%를 차지하고 석탄 발전이 21%를 차지합니다. 2035년까지 전력의 30%를 재생 가능 에너지로 생산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웃 동남아시아 국가와 달리 브루나이는 설치 용량이 부족하고 수력 발전 잠재력이 크며, 이는 브루나이가 부유식 태양광 발전을 기존 수력 발전 인프라와 통합하는 능력을 제한합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브루나이는 인공 저수지에 부유형 태양광 발전을 구축할 기술적 잠재력이 없습니다. 그러나 평가에서는 미래의 부유형 PV 프로젝트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18개의 자연 수역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수역의 잠재적인 부유형 PV 용량은 해안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137MW에서 669MW까지 다양합니다.
캄보디아
캄보디아는 2030년까지 수력 55%, 바이오매스 6.5%, 태양광 3.5%를 목표로 설치 용량 혼합 목표를 설정했으며, 화석 연료는 나머지 3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수력발전은 주요 전력원으로 2020년까지 총 발전량의 약 45%를 차지합니다. 캄보디아 저수지의 부유형 태양광 발전 잠재력은 15~29GW, 자연 수역의 부유형 태양광 발전 잠재력은 22~29GW로 추산됩니다. 46GW.
인도네시아
풍부한 재생 가능 자원과 2060년까지 순배출 제로 달성이라는 야심찬 목표를 가지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발전 구성은 현재 주로 석탄(60%)에 의존하고 있으며, 천연가스(18%), 수력, 지열 및 바이오연료(17%)가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및 석유(3%).
인도네시아는 상당한 풍력 및 태양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러한 기술은 아직 널리 배포되지 않았습니다. 인도네시아 국영 전력회사인 PT Perusahaan Listrik Negara는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약 21GW의 재생에너지 용량을 추가할 계획인데, 이는 신규 용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 계획 용량 중 수력발전은 4.9GW, 태양광 발전은 2.5GW를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총 1,858개의 수역(저수지 19개, 자연 수역 1,839개 포함)이 수상 태양광 프로젝트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기술 잠재력 평가에서는 170GW에서 364GW에 이르는 광범위한 수상 PV 용량을 보여줍니다.
라오스
라오스는 2025년까지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30%를 재생에너지로 채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다른 ASEAN 국가와 달리 라오스는 자연 수역보다 저수지 부동 PV 잠재력이 더 높습니다. 이는 라오스가 국내 수력발전 자원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보고서에서 평가된 3개의 저수지를 고려하면 라오스의 추정 부유형 PV 잠재력은 5~10GW입니다. 라오스는 약 2~5GW의 천연 수상 부유형 태양광 발전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저수지의 잠재력과 결합하면 이는 9~15GW의 더 넓은 범위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송전선로로부터 25km 이상 떨어진 가장 가까운 수역을 제외하기 위해 송전 필터를 사용한 후 저수지의 잠재력은 동일하게 유지되었지만 자연 수역의 잠재력은 약 8.4-10.1% 감소했습니다.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가정.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용량을 4GW로 늘릴 계획입니다. 또한 말레이시아는 2025년까지 설치된 전력 용량의 31%를 재생에너지원에서 조달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라오스와 마찬가지로 말레이시아도 저수지에 23~54GW로 추정되는 부유식 PV 설치와 13~30GW의 잠재력을 지닌 천연 수역에 대한 더 큰 잠재력을 보여주었습니다. 2021년 기준 말레이시아의 총 설치 전력 용량은 39GW이다.
말레이시아의 6개 특정 현장에서 실시된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수상 PV 프로젝트는 연간 약 14.5G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고서는 수상 PV 프로젝트를 통해 연간 약 47~109G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말레이시아의 모든 실행 가능한 수역을 고려하여 이 결과를 더욱 확장했습니다.
미얀마
미얀마의 목표는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설치용량의 20%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미얀마는 2015년 에너지 마스터 플랜에 따라 발전량에서 수력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을 2021년 50%에서 2030년 57%로 높이는 것이 목표다.
보고서는 미얀마 저수지의 부유형 태양광 발전 잠재력이 18~35GW로 상대적으로 낮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비해 자연 수역의 잠재력은 21~47GW로 추정됩니다. 두 가지를 합친 잠재 용량은 미얀마의 총 발전량을 초과합니다. 2021년 기준 미얀마의 총 발전량은 약 7.6GW이다.
전송 필터를 사용하여 전송선이 25km 이상인 가장 가까운 수역을 제외시킨 후 거리에 따라 저수지의 잠재적 용량이 1.7~2.1% 감소하고 자연 수역은 9.7~16.2% 감소했습니다. 해안 가정에서.
필리핀
필리핀은 증가하는 전력 수요 충족, 2022년까지 전력에 대한 보편적 접근 달성, 2030년까지 15GW의 재생 가능 에너지 용량 설치 등 전력 부문에 대한 여러 우선순위를 설정했습니다.
2019년 필리핀은 최초의 수상 태양광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시작했으며 다음 해에 다른 프로젝트의 건설도 시작되었습니다. 잠재적 평가에 따르면 잠재적 용량이 2~5GW인 저수지에 비해 자연 수역에 부유형 PV를 설치할 경우 용량 범위가 42~103GW로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가까운 전송선에서 25km 이상 떨어진 수역을 제외하기 위해 전송 필터를 사용한 후에도 잠재적 저수지 용량은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동시에 자연 수역의 잠재적 용량은 약 1.7~5.2% 감소했습니다.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2030년까지 설치된 태양광 용량을 2GW에 도달하고 2035년까지 저탄소 전력 수입을 통해 에너지 수요의 30%를 충족한다는 재생에너지 목표를 제안했습니다.
보고서는 싱가포르의 저수지 1개와 자연 수역 6개를 확인했으며 저수지의 잠재력은 67~153MW, 자연 수역의 경우 206~381MW입니다. 2021년 기준 싱가포르의 설치 전력 용량은 12GW이다.
싱가포르는 연안 및 근해 부유식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이 분야에서 싱가포르는 해안을 따라 5MW 규모의 수상 태양광 프로젝트를 건설했습니다.
태국
태국은 2037년까지 9개의 서로 다른 저수지에 2.7GW 이상의 수상 PV 프로젝트를 건설할 계획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저수지의 수상 태양광 발전 잠재력은 33~65GW에 이르며 자연 수역은 68~152GW에 달합니다. 2021년 태국의 설치 전력 용량은 55GW가 될 것입니다.
송전필터를 사용하여 송전선로로부터 25km 이상 떨어진 가장 가까운 수역을 제외시켰을 때 저수지의 잠재적 용량은 1.8~2.5% 감소하였고 자연 수역은 3.9~5.9% 감소하였다.
베트남
베트남은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는 보다 광범위한 목표에 맞춰 2030년까지 31~38GW의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용량을 배치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습니다.
수력발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베트남은 독립형 및 하이브리드 부유식 PV 프로젝트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 베트남은 수상 태양광 발전에 적합한 저수지가 가장 많아 총 22개입니다. 이 저수지의 수상 PV 잠재력은 약 21~46GW로 추산됩니다.
마찬가지로 베트남 자연수역의 부유형 태양광 발전 잠재력도 21~54GW에 이른다. 전송 필터를 사용하여 송전선에서 25km 이상 떨어진 가장 가까운 수역을 제외했을 때 저수지의 잠재 용량은 변하지 않은 반면 자연 수역의 잠재 용량은 0.5% 미만으로 감소했습니다.
지난 5월 Blueleaf Energy와 SunAsia Energy는 필리핀 정부로부터 총 용량 610.5MW의 세계 최대 수상 PV 프로젝트를 건설하고 관리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전 NREL 보고서에서는 기존 수력 발전소가 있는 수역 위에 부유형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추가하면 태양광 발전 시스템만으로도 연간 약 7.6TW의 청정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